본문 바로가기

GD's IT Lectures : 기초부터 시리즈187

[파이썬(PYTHON)] 에러 처리와 예외 처리 5. 에러 처리와 예외 처리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다양한 오류와 예외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번 장에서는 파이썬에서 에러와 예외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5.1. 에러의 종류 파이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구문 에러(SyntaxError) : 코드를 작성하다가 발생하는 문법적인 에러입니다. 예를 들어, 콜론(:)이 없거나 괄호가 잘못 닫혀 있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예외(Exception) :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에러로, 대부분의 에러는 예외로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정의되지 않은 변수를 사용하거나, 파일을 찾을 수 없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5.2. try-except문 예외 처리를 위해 파이썬에서는 try-except문을 사용합니다. tr.. 2023. 5. 3.
[파이썬(PYTHON)] 파일 입출력 4. 파일 입출력 파일 처리는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파이썬에서 파일을 읽고 쓰는 방법을 배우면 데이터 저장 및 불러오기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1. 파일 열기와 닫기 파일을 열 때는 open()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 함수는 파일 이름과 모드를 인수로 받아 파일 객체를 반환합니다. 파일 모드는 읽기 모드(r), 쓰기 모드(w), 추가 모드(a), 바이너리 읽기 모드(rb), 바이너리 쓰기 모드(wb) 등이 있습니다. 파일 작업을 마친 후에는 close() 메서드를 호출하여 파일을 닫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손실이나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 file = open("example.txt", "r") # 읽기 모드로 파일 열기 # 파일 처리 작업 .. 2023. 5. 3.
[파이썬(PYTHON)] 함수와 모듈 3. 함수와 모듈 3.1. 함수 정의와 호출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모음입니다.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함수는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하고, 함수 이름 뒤에 괄호와 콜론을 붙입니다. 함수를 호출할 때는 함수 이름과 괄호를 사용합니다. 예제 코드 def greet(): print("Hello, World!") greet() # 함수 호출 3.2. 인자와 반환값 함수는 인자를 받아서 처리한 후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인자는 함수 정의에서 괄호 안에 지정하고,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값을 반환합니다. 예제 코드 def add(a, b): return a + b result = add(3, 4) print(res.. 2023. 5. 3.
[파이썬(PYTHON)] 기본 문법 - 조건문과 반복문 2.3. 조건문과 반복문 2.3.1. if문 if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True)인 경우에만 특정 코드를 실행하도록 합니다. if문 다음에는 조건식을 적고, 콜론(:)을 사용하여 실행할 코드 블록을 표시합니다. 이때, 코드 블록은 들여 쓰기를 사용하여 구분됩니다. if문은 단독 사용할 수도 있고, elif와 else를 이용하여 여러 조건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에 따른 조건을 작성하여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 age = 25 if age < 18: print("청소년입니다.") elif age < 30: print("청년입니다.") else: print("성인입니다.") 이 예제에서는 나이에 따라 청소년, 청년, 성인을 구분하여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if문과.. 2023. 5. 3.
[파이썬(PYTHON)] 기본 문법 - 연산자 2.2. 연산자 2.2.1.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숫자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거듭제곱(**), 몫(//) 등의 연산자가 있습니다. 예제 코드 a = 10 b = 3 #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print(f"{a} + {b} = {a + b}") print(f"{a} - {b} = {a - b}") print(f"{a} * {b} = {a * b}") print(f"{a} / {b} = {a / b}") # 나머지, 거듭제곱, 몫 print(f"{a} % {b} = {a % b}") print(f"{a} ** {b} = {a ** b}") print(f"{a} // {b} = {a // b}") 2.2.2. 비교 .. 2023. 5. 3.
[파이썬(PYTHON)] 기본 문법 - 변수와 자료형 2.1. 변수와 자료형 2.1.1.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 파이썬은 다양한 자료형을 지원합니다. 정수형(int)은 정수를 저장하는 자료형이며, 실수형(float)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저장합니다. 문자열(str)은 문자나 문자의 집합을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변수에 자료형을 별도로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문자열의 경우,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여러 줄의 문자열은 삼중 따옴표(''' 또는 """)를 사용합니다. 또한, 문자열 연산을 통해 문자열을 결합하거나 반복할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 # 정수형 변수 num1 = 10 print(f"num1: {num1}, type: {type(num1)}") # 실수형 변수.. 2023. 5. 3.